담임목사님 저서

[도서18]죽음에서 삶을 배우다
2020-04-09 17:14:38
관리자
조회수   283


 



죽음을 생각할 때 진정 중요한 것만 삶에 남는다

죽음을 바로 알면 인생이 더욱 의미 있고 보석처럼 빛난다.



사람은 결혼식장에서보다 장례식장에서 많은 깨달음을 얻는다.

죽음은 우리에게 많은 질문을 던진다.

“너는 어떤 존재인가? 사람은 왜 죽는가? 죽은 다음에는 어떻게 되는가? 짧은 인생을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



죽음에 대한 대답이 그 사람의 인생관이며, 삶의 목적이고, 철학이자 신앙이다.

그러므로 죽음을 어떻게 생각하는지, 죽음을 어떻게 받아들이는지는 아주 중요한 문제다.



'죽음을 어떻게 이해하는가'에 따라 그 사람의 삶이 결정되기 때문이다.



이 책은 죽음이란 무거운 주제를 쉽고도 간결하게, 그러나 굵직한 핵심을 추려 담았다.

왜 사람들이 죽음을 회피하는지, 왜 죽음을 두려워하는지,

죽음에 대한 인간의 해결책은 무엇이며 하나님의 해결책은 무엇인지, 근사체험을 왜 조심해야 하는지,

그리고 남은 시간을 어떻게 살 것인지를 다루었다. 챕터 뒷부분에는 죽음에 대한 질문에 답을 할 수 있도록

‘함께 이야기하기’와 ‘함께 기도하기’도 수록했다.



죽음을 바로 아는 것은 인생에서 매우 중요한 일이다. 죽음에서 삶을 배울 수 있기 때문이다.

진정한 삶에 대한 해답을 찾고 있다면 이 책이 좋은 길잡이가 될 것이다.

특히 예수를 믿는다고는 하지만 죽음을 두려워하고, 죽음을 생각하지 않으려 하고,

더 나아가 죽음 이후 구원의 확신이 없다면 이 책을 통해 성경의 진리를 붙잡을 수 있다.





구매링크

http://www.kyobobook.co.kr/product/detailViewKor.laf?ejkGb=KOR&mallGb=KOR&barcode=9788953137325&orderClick=LAG&Kc=

 

목차



프롤로그

chapter 1. 죽음을 인정하세요

chapter 2. 왜 죽음을 두려워하는가

chapter 3. 죽음에 대한 인간의 해결책

chapter 4. 죽음에 대한 하나님의 해결책

chapter 5. 근사(近死)체험에 속지 마세요

chapter 6. 남은 시간을 어떻게 살 것인가

 

책 속으로




죽음은 우리에게 많은 질문을 던집니다.

“너는 어떤 존재인가? 죽음이란 무엇인가? 사람은 왜 죽는가? 죽은 다음에는 어떻게 되는가? 짧은 인생을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

다시 말하면 죽음에 대한 대답이 그 사람의 인생관이며, 삶의 목적이고, 철학이자 신앙입니다.

그러므로 죽음은 살아 있는 사람이 대답해야 할 가장 중요한 주제입니다. 죽음을 어떻게 이해하는가에 따라 그 사람의 삶이 결정되기 때문입니다.

죽음에 대한 올바른 해답을 가지고 있으면 그 사람의 인생은 진정한 삶, 가치 있고도 영원한 삶이 됩니다.

그러나 죽음을 바르게 이해하지 못하면 그의 삶도 그렇게 될 수밖에 없습니다. 그러므로 죽음을 바로 알아야 합니다. [7-8쪽]



잔칫집에는 즐거움과 쾌락이 있습니다. 거기 가서 기분 좋게 웃는 것도 좋은 일입니다.

그러나 거기서는 인생의 진리를 제대로 볼 수 없습니다. 반면에 초상집에서는 인생의 진실을 배우게 됩니다.

초상집에 가서 ‘야, 조화가 많이 들어왔네. 대단한 집인가 보다’라거나 ‘내가 죽으면 이런 장례를 치를 수 있을까? 너무 초라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 대신에 인생의 진실을 보라는 것입니다. 인생의 진실은 무엇입니까?



모든 사람의 끝이 이와 같이 됨이라 산 자는 이것을 그의 마음에 둘지어다(전 7:2 하)





너도 죽는다는 사실을 잊지 말라는 것입니다. 곧 죽음을 생각하라는 것입니다.

그렇다면 날마다 슬픈 얼굴로 살라는 말입니까? 염세주의자가 되라는 말입니까? 아닙니다.

철학적으로 말하면 ‘먼 미래를 보라. 내 인생의 끝날, 마지막 지점(final goal)을 생각하라’는 것입니다.

그렇지 않아도 머리가 복잡한데, 스트레스가 쌓여 죽을 지경인데 왜 죽음을 생각합니까? 그 대답이 3절입니다.



슬픔이 웃음보다 나음은 얼굴에 근심하는 것이 마음에 유익하기 때문이니라(전 7:3)



슬픔의 극치인 죽음 앞에서 마음이 치료됩니다. 이것을 카타르시스 작용이라고 합니다. 비극을 통하여 마음이 치료되는 것입니다.

사람들은 흔히 코미디 프로그램을 보면서 많이 웃지만 웃음으로 치료되는 것은 작은 부분입니다.

눈물이 웃음보다 훨씬 더 강력한 치료제입니다. 웬만한 고민거리는 죽음 앞에서 사라집니다.

자존심 때문에 서로 싸운다고요? 죽음을 생각하면 싸울 일이 없습니다. [29-30쪽]



서커스에서 공중그네를 타는 곡예사는 줄을 타고 내려온 다음 잡았던 것을 놓고, 앞에 있는 것을 붙잡아야 합니다.

그런데 아무리 베테랑 곡예사라 해도 뒤의 것을 놓고, 앞의 것을 잡기까지 엄청난 두려움을 느낀다고 합니다.

죽음의 순간도 그렇습니다. 잡았던 것을 놓아야 합니다. 그런데 이것이 쉽지 않습니다.

그리고 앞에 있는 것을 잘 붙잡아야 하는데 보이지 않으니 거기에 따르는 불안과 두려움이 있습니다.



이 때 필요한 것이 두 가지입니다.



먼저는 잘 놓아야 합니다. 무엇을 놓아야 합니까? 세상에 대한 나의 애착입니다. 세상과 나의 연관성을 내려놓아야 합니다.

어떻게 놓을 수 있습니까? 나는 죽었다고 고백하는 것입니다.

두려움이 생길 때, 유혹이 다가올 때, 내 마음을 자꾸만 사로잡는 것이 생길 때 이기는 공식이 있습니다.



“나는 이미 죽었습니다. 그것과는 상관이 없습니다.” 이렇게 고백하는 것이 ‘놓기’입니다.

그 다음에는 ‘잡기’입니다. 무엇을 잡습니까? 하나님의 약속입니다. [56-58쪽]





뉴에이지는 죽음에 대해 어떻게 설명할까요? 인간이 신이므로 죽음은 없습니다. 다만, 죽음이란 자기의 신성을 깨닫는 과정일 뿐입니다.

그들은 인간이 여러 번 죽는다고 봅니다. 이때 ‘윤회’가 아닌 ‘환생’이라는 말을 사용합니다.

윤회는 불교나 힌두교에서 죽은 다음에 전생과 다른 존재로 태어나는 것을 이야기할 때 사용하는 말입니다.

윤회에서는 사람이 개나 돼지로 태어날 수 있고 개나 돼지가 사람으로 태어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뉴에이지에선 사람은 사람으로 반드시 태어납니다. 다른 존재로 태어나지 않습니다. 더구나 이전보다 더 상승된 존재로 태어납니다.

인간이 자신이 신임을 깨닫는 과정 중에 죽음이 있으므로 이전보다 더 나은 존재로 태어나는 거지요 [133쪽]



최고의 인생관은 무엇입니까? 부활 신앙입니다. 부활 신앙을 가질 때 인생이 허무하지 않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미래에 대한 분명한 그림이 없어서 이리저리 휩쓸리고 흔들립니다.

부활 신앙을 가질 때 소망을 가지고 살 수 있고, 내 수고와 노력과 진실이 사라지지 않으므로 현실을 가장 의미 있게 살아갈 수 있습니다. [163쪽]



 




댓글

댓글쓰기 권한이 없습니다.
번호 제목 작성자 등록일 조회수 첨부 파일
공지 담임목사님 저서를 홈페이지 통해서 구입하기를 원하는 분 관리자 2018-02-12 3162
26 [도서24] 마음을 주께 드립니다    1 박예찬 2023-11-04 121
25 [도서23] 깨어 기도할 수 없겠느냐    관리자 2023-02-24 177
24 [도서22]욥기, 하나님은 왜?    박예찬 2022-12-17 114
23 [도서21]천국 바로 알기    김동훈 2022-03-25 139
22 [도서20]인생잠언 지혜편    관리자 2021-02-25 220
21 [도서19]인생잠언 성공편    관리자 2020-09-26 197
20 [도서18]죽음에서 삶을 배우다    관리자 2020-04-09 283
19 [도서17]죽음인문학/죽음인문학 워크북    관리자 2019-10-30 332
18 [도서16]나의 신앙고백    관리자 2019-07-12 266
17 [도서15] 인터로뱅, 지혜에 대해 묻고 답하다    관리자 2019-04-18 431
16 [도서14] 영적전쟁    1 관리자 2018-04-06 608
15 [도서13] 건강한 교회 행복한 교인2    관리자 2017-09-14 666
14 [도서12] 건강한 교회 행복한 교인1 관리자 2017-03-22 965
13 [도서11] 예수님의 십자가    관리자 2016-07-16 1363
12 [도서10] 선한창조2    관리자 2016-01-07 1202
1 2